슬로우플레이션 알아보기
코로나 19 발생으로 전세계가 슬로우플레이션을 겪고 있다.
그리고 한국은 내년에도 슬로우플레이션이 지속될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들린다.
그럼 슬로우플레이션은 무엇이고 우리가 대응해야 하는 자세를 무엇일지 알아보겠다.
슬로우플레이션이란?
슬로우(slow)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경기가 좋지 못하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상황을 뜻한다.
쉽게 설명하면 경제 성장은 둔화하고 있지만 물가는 상승하고 있는 경제 상황이다.
슬로우플레이션이 지속되고 고용문제 등까지 발생하게 되면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악화된다.
스태그플레이션보다 양호적인 경제 흐름인 상태이지만 대응을 하지 많으면 더 심각한 경제상황을 직면하게 된다.
과거 석유파동 당시에 높은 원자재 비용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경제가 침체되면서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었다.
슬로우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의 차이
두 가지의 차이는 실업률과 경제 침체 속도이다.
스태크플레이션과 다르게 슬로우 플레이션은 실업률이 증가하지 않고 경제 침체보다 둔화 상태이다.
슬로우플레이션 발생 원인
최근 슬로우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는 코로나 19로 인한 수요공급의 문제로 발생이 된 것이다.
1. 공급 병목현상: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
2. 그린플레이션: 친환경 경제 전환으로 비용 증가하여 생산이 감소되어 자원 가격이 높아지는 현상
3. 에너지 대란: 중국-호주 무역전쟁,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가, 천연가스 등 가격 폭등
슬로우 플레이션이 지속되면 생기는 문제
슬로우플레이션이 지속되면 실질 국민총소득(GNI)가 감소된다.
GNI의 감소는 소비의 위축을 되어 경제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 소비 위축은 부동산 경제에도 영향을 주어서 부동산폭락의 가능성도 매우 높아진다.
현재 한국의 경제 상황
고물가를 위해 급격한 금리인상과 세계적인 경기 침체는 한국의 경기 둔화를 지속하고 있다.
현재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둔화되고 있지만 경제 성장둔화와 고물가로 슬로우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11월 소비자 물가는 5%상승률(최근 7개월 중 낮은 상승률)이지만 근원물가 상승률이 떨어지지 않았다.
(* 근원물가: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은 농산물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
그래서 기대인플레이션이 4%로 높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높은 기대인플레이션은 임금 상승으로 이어져 기업은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 할 것이다.
기업의 비용 부담 완화 방법은 생산품의 높은 가격이 될 것이고 그로 인해 고물가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Study > 시사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0억 세 모녀 전세사기, 징역 15년 선고 (0) | 2024.06.13 |
---|---|
금리 4%대 대출 특례보금자리론: 대출한도 조건을 알아보자 (0) | 2022.12.13 |
화물연대 파업: 파업이유 안전운임제 일몰제는 무엇일까?(+정부 대응) (0) | 2022.12.07 |
논란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세율, 과세대상, 도입시기를 알아보자(유예 2년?) (0) | 2022.12.05 |
레고랜드 사태, 부도의 이유 채권 불이행? 그리고 금융위기(feat. 핵심정리) (0) | 2022.10.22 |
댓글